넷마블 주가 전망 및 2분기 실적 분석(목표 주가)
- 주식 종목 분석/게임
- 2022. 8. 24. 15:48
대한민국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넷마의 재무, 차트, 수급을 분석한 후 공시사항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 다른 짜깁기 글에 비해 글과 숫자가 많지만, 읽는 것만으로도 여러분의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으니 종목 매수 전 LIKEBEE를 검색 또는 즐겨찾기 등록해 분석자료를 확인해주세요.
1. 종목 분석
1) 종목명 : 넷마블
2) 관련 테마 : 게임, 블록체인
3) 액면가 : 100원
4) 시가총액 : 5조 4,323억 원
5) 유통주식수 : 26,792,523 (31.2%)
6) 대주주 지분율 : 24.9% (방준혁)
7) 외국인 지분율 : 23.06%
기업 개요
넷마블은 모바일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 사업을 영위하며, 주요 게임으로는 '모두의 마블', '스톤에이지 월드', '세븐 나이츠', '몬스터 길들이기' 등이 있습니다. MMO RPG부터 캐주얼 장르까지 다양한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구글 플레이, 애플 앱스토어 등에서 높은 순위를 유지하고 있는 CASH COW 게임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분석은 아래 내용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재무 분석 ( D 등급 )
1) Positive(긍정) - 없음
2 ) Negative(부정) - 영업이익 감소, 영업이익률 감소, 부채 증가
- 영업이익 1,510억 (-44% 감소)
- 영업이익률 6.02% (-4% 감소)
- 부채 4조 6,561억 (81% 증가)
3) 특이사항
- 넷마블 1분기 분석에서 80,000원이 절대 저점이 아니라고 말했고, 지금도 저점을 찾지 못한 상황
4) 종합평가
넷마블은 2021년 매 분기 어닝 쇼크를 기록하며 심각한 수익 역성장을 기록했습니다. IT, 플랫폼, 게임 섹터에서 개발자들의 몸값이 급하게 치솟으며 수익성을 빠르게 훼손하고 있어 실적에 큰 부담이 되는 상황인데 넷마블은 주력 게임 대부분이 시장 예상 매출액에 도달하지 못하며 심각한 수익 역성장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넷마블 22년 1분기 실적은 매출액 6,315억, 영업이익 -119억으로 적자 전환하며 어닝 쇼크를 기록했습니다. 넷마블은 대형 신작이 부재한 상황에서 기존 주력 게임 대부분이 매출 하향세를 지속하고 있고 블록체인 사업은 기대감만 키웠을 뿐 실적은 전무한 상태입니다. 만약, 2분기 제2의나라, 골든 브로스, 3분기 세븐나이츠, 레볼루션, 오버 프라임 등의 신작이 큰 반응을 이끌어내지 못한다면 실적 악화 속도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넷마블 22년 2분기 실적은 매출은 6,606억, 영업이익 -347억으로 1분기에 이어 적자폭이 확대되는 또 한 번의 어닝쇼크를 기록했습니다. 1분기 우려했던 사항 그대로 2분기 신작들이 큰 반응을 이끌어내지 못해 마케팅 비용만 쏟아부은 꼴이 돼버렸고 개발자들의 연봉 인상 및 인센티브 지급에 따라 실적 악화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넷마블의 현재 상황은 초대형 신작이 나와 기존 라인업들의 매출 감소세를 상쇄시키지 못한다면 실적 악화 추세는 계속 지속될 전망입니다. 3분기 세븐나이츠 레볼루션-한국, 골든 브로스-글로벌, 샬롯의 테이블-글로벌 라인업은 상황을 반전시킬 만한 흥행력이 부재하다고 보여지며 4분기는 모두의 마블-글로벌, 몬스터 아레나 얼티밋 배틀 -글로벌, 킹 오브 파이터즈-글로벌, 오버 프라임-글로벌, BTS드림 -글로벌, 총 5개 신작 라인업은 실적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정도의 기대감은 있는 상황입니다.
게임 업계는 신작 흥행 시 투자 비용 대비 엄청난 이익 리턴이 있는 섹터로 주가 프리미엄을 받는 대표적인 업종이었습니다. 하지만 개발자들의 몸값이 상식 범위 밖으로 급상승하면서 이익 훼손이 심각한 상태이며 경쟁 심화로 신작 흥행은 어렵고 설사 흥행에 성공하더라도 타 경쟁사의 끊임없는 신작 출시로 수명이 급격하게 짧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위와 같은 악재속에서 신작 흥행마저 실패하고 이는 넷마블의 전망은 매우 어둡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넷마블의 재무 부문 종합등급은 D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차트 분석 ( E 등급 )
1) 주가 분석
- '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 선언 ▼ 주가 80,00원까지 하락
- 연준의 무제한 양적완화 선언으로 글로벌 지수 폭등 ▲ 주가 120,000원대 회복
- 호실적 및 보유지분 가치 부각 ▲ 주가 200,000원대 상승
- 신작 부재에 따른 역성장 지속, 지분가치 하락 ▼ 주가 70,000원대 하락(코로나 저점 붕괴)
- 신작 흥행 실패, 인건비 증가로 적자 확대 ▼ 주가 60,000원대 하락
2) 거래량 분석
- 주가가 많이 하락했음에도 투심 악화로 거래량이 말라가고 있음
3) 특이사항
- 차트상 아직 저점을 찾지 못함
4) 종합평가
넷마블의 주가 차트를 보면 게임 섹터 전체에 대한 악재와 개별 기업의 악재가 겹쳐 빠르게 주가가 하락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전 넷마블 1분기 분석에서 80,000원이 저점이 아니라고 말씀드렸는데 지금도 같은 의견입니다. 섹터 악재와 기업 악재 어느 하나도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적자폭은 확대되고 있기에 바닥이라고 판단할 근거가 전무한 상황입니다.
기업 분석이나 시황 분석 없이 차트상 주가가 많이 하락했다고 물을 타거나 매수를 하는 것은 굉장히 미련한 매매 전략입니다. 시황 반등이나 실적 반등, 주가 반등을 확인하고 사도 실패할 수 있는 리스크가 있는 주식시장인데 아무런 근거도 없이 매수해놓고 오르기를 기다리며 기도하는 매매방식이 성공할 리 없으며, 이런 본능과 본성에 의존한 매매가 수익을 안겨줄 수 있다면 개인 투자자들의 계좌 중 90%가 누적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는 통계가 정반대로 나왔을 겁니다.
수백, 수천억의 이익을 창출하고 있는 게임 기업들도 섹터 전체 이익 훼손 이슈로 심각한 주가 조정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적자전환까지 기록한 기업을 굳이 매수해야할 이유를 전혀 찾지 못하겠습니다. 넷마블이 보유한 지분 가치(하이브, 엔씨소프트)도 주가 하락으로 인해 많이 하락한 상황이라 주가 방어 요인으로 작용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 넷마블의 주가 차트를 보고 매수가 하고 싶으시다면 주식시장을 떠나는게 본인의 자산을 지키는 최선의 방법일 수 있습니다. 넷마블의 차트 부문 종합등급은 E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수급 분석 ( E 등급 )
1) 6개월 누적 수급
- 개인이 531억 매수, 외국인이 0억 매수, 기관이 -551억 매도
2) 공매도 누적 수급
- 누적 공매도 금액은 3,000억으로 추산되며 이는 넷마블 시총 5조 4,000억 대비 5.5%에 해당
3) 종합판단
누적 수급 차트를 보시면 넷마블의 주가가 끊임없이 하락하자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도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메이저 투자 수급에 비해 투자 호흡이 짧고 원칙 없이 본전 심리가 매우 강해 주가가 하락할 때 관망하고 기다리기 힘들어합니다. 빠르게 물을 타서 반등 시 본전을 찾고 싶은 욕구는 우리가 주식 시장 참여자로서 버려야 할 가장 안 좋은 습관이며, 개인투자자들의 계좌 중 90%가 누적 손실을 기록할 수 있었던 비결임을 명심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제가 1차 분석때도 80,000원이 절대 바닥이 아니라고 말씀드렸었는데, 그 이후 리스크 관리를 위해 지분을 축소하신 분들은 향후 주식시장에서 성공하실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하지만 대부분 관망하셨을 것이며, 심지어 추가 매수를 하신 분들은 주식시장을 떠나시는 게 본인 또는 주변인들을 위한 최선의 선택일 겁니다. 투자자라면 반드시 이행해야 할 리스크 관리를 개나 줘버린 순간 자신의 자산을 지킬 책임도 능력도 없는 사람이 된 것입니다.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하더라도 공매도 수급이 줄어들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섹터 및 개별 기업의 악재가 사라지지 않는 한 강도 높은 공매도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따라서 넷마블의 수급 부문 종합등급은 E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2. 중요 공시 ( 0 건) 및 배당 규모
1)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 수급 분석에서 말씀드렸다시피 넷마블은 공매도 세력에게 잘 차려진 전주 한정식과 같습니다. 공매도 세력들의 과도한 폭식을 견제하기 위해 거래소에서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한 상황입니다.
2) 배당 규모(예상) : 없음
3. 주가 전망
종목의 강점과 약점을 바탕으로 넷마블의 주가를 전망해보겠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오로지 본인에게 있으므로 잘 판단하셔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Strong Point
1) 하반기 마케팅 비용 대폭 축소, 흑자 전환 가능성
Weak Point
1) 적지 않은 일일 공매도 수급은 주가에 부담
2) 게임 섹터 전체에 수익성 훼손 이슈로 주가 프리미엄 반납 진행중
3) 기존 주력 라인업들의 매출 하향세 심각
4) 연이은 신작 흥행 실패로 마케팅 비용도 회수 못하는 상황
4. 목표가
재무, 차트, 수급 분석과 주가 전망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목표가를 산출하기 때문에 실제로 목표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허황된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습니다.
넷마블 1차 목표가 : -
넷마블 2차 목표가 : -
제가 목표주가를 설정하지 않는 기업들은 거의 없습니다. 시황이나 업황이 매우 심각해 기대 수익 대비 과도한 리스크를 부담해야 할 경우에 목표주가를 설정하지 않는데, 넷마블은 목표주가를 설정하지 않겠습니다. 2023년 예상 영업이익 1,500억 수준으로도 현재 시총상 밸류 부담이 크고, BTS 단체 활동 잠정 중단으로 인한 하이브의 주가 폭락으로 지분가치도 희석된 상황임을 반영했습니다.
제 분석 내용은 참고만 해주시길 바라며 투자의 결과는 오로지 투자한 본인의 책임입니다. 즐겁고 성공하는 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다른 종목이 궁금하시다면 우측 상단 검색창을 활용하여 검색해주시고 아래 다른 종목들의 분석글 링크를 올려놓았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종목 분석 >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씨소프트 주가 전망 및 하반기 분석(악재는 여전히 견고하다.) (0) | 2022.10.10 |
---|---|
크래프톤 주가 전망 및 2분기 실적 분석(목표 주가) (0) | 2022.09.02 |
위메이드 주가 전망 및 2분기 실적 분석(목표 주가) (0) | 2022.08.19 |
카카오게임즈 주가 전망 및 2분기 실적 분석(목표 주가) (0) | 2022.08.04 |
네오위즈 주가 전망 및 분석(목표 주가) (0) | 2022.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