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I 주가 전망 및 22년도 하반기 분석(배당, 목표 주가)

대한민국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OCI의 재무, 차트, 수급을 분석한 후 공시사항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 다른 짜깁기 글에 비해 글과 숫자가 많지만, 읽는 것만으로도 여러분의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습니다. 반드시 종목 매수 전 LIKEBEE를 검색 또는 즐겨찾기 등록해 분석자료를 확인해주세요.

1. 종목 분석

1) 종목명 : OCI

2) 관련 테마 : 태양광

3) 액면가 : 5,000원

4) 시가총액 : 2조 2,680억 원

5) 유통주식수 : 18,543,996 (77.8%)

6) 대주주 지분율 : 77.8% (이화영 외 31인)

7) 외국인 지분율 : 12.88% 

 

기업 개요

 OCI는 신재생에너지 중 태양광 발전에 활용되는 폴리실리콘을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오랜 기간 중국산 폴리실리콘 물량전에 고전하며 힘겨운 시간을 보냈으나, 최근 신재생에너지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하며 매출 성장을 통한 흑자전환에 성공했습니다. 현재 OCI는 현재 매출의 수익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원부 원료 사용량 최소화 및 에너지 절감, 생산공정의 개선을 추진 중에 있으며 OCI의 자세한 분석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재무 분석 ( B 등급 )

○ OCI 재무 종합평가

 

 "천조국 미국의 은총"

 

 OCI는 21년 탄소제로를 목표로 한 에너지 전환 정책으로 큰 수혜를 입어 외형 및 수익 성장에 성공했습니다. 2022년 기준 전 세계 태양광 설치규모는 240GW로 대폭 증가됨에 따라 폴리실리콘의 수요와 ASP는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다만, 하반기로 갈수록 폴리실리콘의 원자재인 메탈실리콘의 선물 가격이 급등하며 원가 부담이 증가했고 고유가로 인해 물류비용이 증가하며 수익성이 악화되기 시작했습니다.

 

OCI의 2022년 실적은 1분기 영업이익 1,620억, 2분기 영업이익 1,810억, 3분기 영업이익 2,891억을 기록했습니다. 2021년에 시행되었어야 할 정기보수가 22년 1분기에 시행됨으로써 부진한 실적을 기록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2분기에는 일부 생산 라인의 보수 및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생산에 차질이 생겨 시장 전망치를 하회하는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3분기에는 일회성 악재들이 소멸되기 시작했고 원달러 환율의 상승과 폴리실리콘의 견조한 수요를 바탕으로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OCI 실적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인 폴리실리콘 가격은 하락 우려가 꾸준히 지속되고 있지만 아래 가격 차트를 보시녀 아직까지 가격 방어에는 성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폴리실리콘 평균 가격

 

미국이 중국 견제를 강화하고 자국 내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대규모 투자를 지원하겠다는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중국의 물량 공세에 고통받던 OCI는 미국의 중국 견제가 너무 고마울 겁니다. 또한 미국 내 태양광 설비 설치 시 최대 50% 세액 공제가 지원되므로 북미시장의 태양광 시장 자체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유럽 대륙도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육성 정책을 강도 높게 강화하고 있으며 한국, 일본 등 아시아 선진국도 태양광 산업을 적극 확대할 계획임을 시사하고 있는 만큼 태양광 시장 전망은 매우 밝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한 가지 걱정되는 점은 OCI가 5천 톤 이상 증설했지만 중국 폴리실리콘 기업들도 대규모 증설이 이뤄진 만큼 증설된 물량들이 시장에 유입되기 시작하면 폴리실리콘 가격 하락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

 

정말 다행인 건 미국이 No-china를 선언해준 겁니다. 중국 기업을 빼면 선택지가 대폭 줄어들기 때문에 OCI가 수혜를 입을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유럽까지 중국과 러시아를 왕따 시키는데 적극 합류해준다면 OCI의 성장 레버리지는 극대화될 수 있을 것입니다.

 

미국의 도움으로 그나마 중국발 우려를 조금 줄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과거 데이터를 보면 중국은 태양광 생태계를 완전히 무너뜨릴 수 있는 저수지 황소개구리 같은 존재들이므로 향후 폴리실리콘 가격 추이를 꾸준히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우려와 기대감이 혼재하고 있는 OCI의 재무 부문 종합등급은 B등급으로 평가합니다.

 

차트 분석 ( B 등급 )

1) 주가 분석

 

  - '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 선언  주가 26,450원까지 하락

  - 미 연준 무제한 양적완화 선언, 글로벌 지수 폭등  주가 60,000원대 상승

  - 이전 정부의 강력한 원전 폐지 정책 드라이브  주가 140,000원대 상승

  - 글로벌 증시 하락기 진입 및 원전 재가동 정책 추진  주가 90,000원대 하락

  -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MIX 이슈, 태양광 주목  주가 140,000원대 상승

  - 중국발 폴리실리콘 증설 물량 투입으로 단가 하락 우려  주가 90,000원대 하락

 

2) 거래량 분석

 

- 국내 시가총액 1위, 글로벌 시가총액 20위권 기업인 만큼 양호한 거래량 발생

 

3) OCI 차트 종합평가

 

"단가 하락 우려가 저평가로 이어진다"

 

OCI의 적은 중국입니다. 중국의 물량전으로 10년 동안 폴리실리콘의 단가는 최대 90%까지 하락했었습니다. 중국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한 폴리실리콘 단가 하락 우려는 평생 가지고 가야 할 겁니다. 미국의 반중 정책으로 우려의 강도를 조금 낮출 수는 있었으나 근본적으로 단가 하락 우려를 완전히 종식시킬 순 없습니다.

 

그로 인해 OCI는 2022년 실적 기준 PER 3배 수준의 밸류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OCI가 3년만 순이익을 모으면 OCI 회사를 통째로 인수할 수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중국 때문에 엄청난 적자를 기록해야만 했던 지난 과거들이 다시 반볼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시장은 OCI를 높이 평가해줄 수 없는 겁니다.

 

제품 MIX 효과가 뛰어나거나 기술 진입장벽이 높은 기업의 경우 중국이나 타 PEER들의 도전에도 쉽게 쓰러지지 않습니다. 제품 MIX가 잘 갖춰져 있으면 이익 방어력이 높아 단일 상품의 가격이 하락한다고 하더라도 적자전환까지 이어지지 않으며, 기술 진입장벽이 높으면 중국 기업들이 물량전을 하기 힘들고, 한다고 하더라도 품질 차이로 중국기업들과 독립적인 단가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아쉽게도 OCI는 위와 같은 기업은 아닙니다. 따라서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차트상 현재 주가는 매우 위험한 자리에 위치하고 있어, 최근 형성한 저점을 이탈할 경우 60,000원 지지까지 확인하러 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객관적인 숫자상 저평가라 하더라도 최종적인 저평과 판단은 시장이 하는 것이기에 일단은 관망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저평가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 안타깝습니다. 현재 주가에서 밸류 부담이 전혀 없는 점과 아직 하락 추세로 완전히 돌아서지 않았다는 점을 반영하여 차트 부문 종합등급은 B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수급 분석 ( E 등급 )

 

 

 

1) 6개월 누적 수급

- 개인이 2,047억 매수, 외국인이 1,526억 매도, 기관이 569억 매도

 

2) 공매도 누적 수급

- 누적 공매도 금액은 3,500억으로 추산되며 이는 OCI 시총 2조 2,800억 대비 15.5%에 해당

 

3) OCI 수급 종합평가

 

"개인만 매수 + 증가한 공매도 =?"

 

OCI의 수급상황은 최악입니다.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만 이어지고 있으며, 공매도는 일일 거래대금의 16%까지 유입되는 등 공격적인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불과 3개월 전만 해도 7~9% 수준을 유지하던 공매도 수급이 대폭 증가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PER 2~3배 수준의 밸류에도 메이저 수급이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은 분명히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본래 시장은 무언가에 영향을 많이 받는 기업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은행주, 건설주가 아무리 돈을 많이 벌어도 PER 3~5배를 유지하는 이유이기도 하죠. OCI도 아직까지는 비슷한 관점으로 바라봐야 할 것 같습니다.

 

OCI의 수급 부문 종합등급은 E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2. 중요 공시 ( 0 건) 및 배당 규모

1) 투자 전 반드시 확인해야 될 공시사항은 없습니다.

2) 배당 규모(예상)

  • 주당 배당금 : 2,100원
  • 시가 배당률 : 2.2%
  • 배당 지급일 : 기말 배당

 

3. 주가 전망

종목의 강점과 약점을 바탕으로 OCI의 주가를 전망해보겠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오로지 본인에게 있으므로 잘 판단하셔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Strong Point

1) 고맙다 미국! 미국의 반중 정책으로 반사이익 전망

2) 고맙다 미국!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으로 태양광 시장 고성장 전망

3) PER 3배, 저평가 이유는 알겠는데 심하다.

4) 유럽 대륙을 중심으로 에너지 MIX 및 전환 정책 강한 드라이브 진행 중

 

 

Weak Point

1) 중국이 사라지지 않는 한평생 가져가야 할 차이나 리스크

2) PER 3배에도 관심 가져주지 않는 메이저 수급

3) 높아진 공매도 수급 규모

 

4. 목표가

재무, 차트, 수급 분석과 주가 전망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목표가를 산출하기 때문에 실제로 목표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허황된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습니다.

 

OCI 1차 목표가 : 110,000원

 

OCI 2차 목표가 : 120,000원

 

OCI의 주가 할인 요소에 대해서는 이해가 되고 납득이 갑니다만 정도가 심하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미국의 행보로 반사이익을 볼 것이 확실한 상황에서도 주가에 전혀 반영이 안 되고 있는 점은 아쉽습니다. 2023년에도 무난한 증익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만 시장의 평가를 마냥 무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현재 PER는 유지하되 2023년 예상실적 기준으로 목표 주가를 설정했습니다. 매우 보수적으로 설정한 목표주가임을 말씀드립니다.

 

제 분석 내용은 참고만 해주시길 바라며 투자의 결과는 오로지 투자한 본인의 책임입니다. 즐겁고 성공하는 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아래 제 블로그 메인 페이지로 가시면 더 많은 기업 정보 및 분석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