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목표가 달성)
대한민국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재무, 차트, 수급을 분석한 후 공시사항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 다른 짜깁기 글에 비해 글과 숫자가 많지만, 읽는 것만으로도 여러분의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습니다. 반드시 종목 매수 전 LIKEBEE를 검색 또는 즐겨찾기 등록해 분석자료를 확인해주세요.
1. 종목 분석
1) 종목명 : 삼성바이오로직스
2) 관련 테마 : 바이오, 바이오시밀러, CMO
3) 액면가 : 2,500원
4) 시가총액 : 75조 3,770억 원
5) 유통주식수 : 18,213,587 (25.6%)
6) 대주주 지분율 : 74.4% (삼성물산 외 3인)
7) 외국인 지분율 : 13.41%
기업 개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삼성그룹의 대표 바이오 기업으로 2011년 4월에 설립되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국내외 제약사들의 첨단 바이오의약품을 위탁 생산 하는 CMO 사업을 Cash Cow로 활용하고 있으며, 총 40만 리터의 케파를 보유한 세계 1위 CMO 기업입니다. 이에 더해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스피와 아키젠바이오텍을 활용해 신약 및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며 미래 성장동력도 확보하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자세한 분석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재무 분석 ( A 등급 )
○ 삼성바이오로직스 재무 종합평가
"성장하는 바이오의 정석"
보통 한국금융시장에서 바이오 섹터는 굉장한 하이 리스크로 분류됩니다. 그 어떤 산업보다도 바이오는 글로벌 시장에서 다방면으로 빠르게 팽창하며 규모를 키워가고 있는데 한국 바이오 섹터는 왜 리스크가 큰 것일까요? 대한민국 증시에 상장된 바이오 기업 중 압도적 다수는 자체적인 Cash Flow를 만들지 못하고 전환사채, 유상증자 등 주주들의 희생을 담보로 모든 비용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비를 포함 심지어 본인들의 연봉까지 주주들의 돈으로 받고 있는 기업이 대부분입니다. 미국 FDA 기준 임상 3상을 통과할 수 있는 확률은 1%가 되지 않습니다. 결국 대부분은 실패한다는 의미인데, 실패해도 누군가는 주주들 돈으로 돈잔치를 하고 있고 주주들만 막대한 손실을 감당해야 하죠.
저는 수 년간 여러분들께 K-바이오 중 확실한 캐쉬 플로우와 R&D가 조화를 이뤄 안정적인 성장을 하고 있기에 평생 보유해도 좋을만한 바이오 기업이 두 개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바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유한양행이죠. 오늘은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석 시간이니까 삼성바이오로직스에 집중해서 다시 한번 설명드려보겠습니다.
일단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MO 부문 세계 1위의 캐파를 확보한 기업이고 CDO 부문에서도 사업을 확대하며 상업적 생산과 개발을 동시에 진행하는 CDMO 통합 바이오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CDMO 통합으론 Lonza 그룹 캐파에 살짝 뒤쳐지긴 합니다만 CMO는 압도적 1위를 유지하고 있고 현재 공장 증설을 통한 캐파 확대전망으로 2030년을 넘어서면 CDMO 통합으로도 세계 1위의 지위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빅파마들의 러브콜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연이어 수주잔고를 빠르게 쌓아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1.7조원의 최대 규모 수주를 발표하면서 시장에 본인들의 시장 지위를 증명해보였습니다. 따라서 머지않아 진행중인 5공장 이외에도 6~8공장 계획을 발표하면서 생산 능력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실적 부문에서는 5공장 최적화 이전까지는 인력 채용 등 비용증가로 인해 다이나믹한 영업이익 성장은 다소 어려워보이지만 최근 환율 급등과 더불어 안정적인 매출발생으로 연간 영업이익 1.2조원은 가뿐하게 넘어설 수 있을 것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캐쉬카우는 위에서 설명했다시피 CMO 사업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CMO로 벌어들인 돈은 캐파를 증설하고 신약 및 바이오시밀러 연구개발에 재투자하며 미래성장동력을 키워가는 등 성장하는 바이오 기업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명을 공개하진 않겠지만 스스로는 단 돈 1억원도 못벌지만 주주들 희망고문시키면서 툭하면 유상증자, 사채 발행해서 현금 내놓으라고 반협박하는 바이오 기업이 너무나도 많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우호적인 수주 환경에서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생산능력을 빠르게 확대할 계획을 세웠고 이에 따라 연평균 최소 10%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에 더해 CDO 부문에서 가시적인 성과가 나와 종합 바이오 솔루션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다면 영업이익 성장속도보다 기업가치는 더욱 빠르게 상승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게다가 높은 환율과 미중 갈등 고조라는 매크로 상황은 삼성바이오로직스에게 우호적으로 작용할 겁니다.
길게 설명했지만 결국 한 마디로 정리해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본인들의 성장스토리를 잘 써내려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재무 부문 종합등급은 A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차트 분석 ( A 등급 )
○ 삼성바이오로직스 차트 종합평가
"목표가 도달했지만 의미없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목표주가는 늘 100만원으로 제시해드렸지만 사실상 큰 의미 없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익실현보다는 박스권 하단에서 꾸준히 모아가라고 말씀드렸고 새로운 레벨로 도약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기업이기에 시간을 투자하라고 늘 말씀드렸습니다. 여전히 제 의견은 전혀 변하지 않았고 최근까지 확인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성장 스토리는 제 예상보다도 더욱 탄탄하고 안정적으로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금리인하로 인한 바이오 섹터의 수급 유입, 생물보안법 이슈, 글로벌 바이오 시장의 성장, 고환율, 최대규모 수주 성공 등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오랜 기다림 끝에 새로운 레벨로 도약할 수 있는 모멘텀은 준비 완료입니다.
물론, CMO만으로 끝없이 성장하기는 무리일겁니다. 언젠간 글로벌 빅파마로 성장할 수 있는 캐쉬를 마련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하며, CDO, 바이오시밀러, 더 나아가 결국 삼성바이오로직스만의 블록버스터급 신약 개발에 성공해야겠죠. 대한민국 바이오 섹터 중 유일하게 연간 영업이익 1조원을 넘어 2조원을 바라보고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빅파마가 되는 성장스토리를 응원하며 기다려보겠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에게 목표주가는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 따라서 차트 부문 종합등급은 A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수급 분석 ( A 등급 )
○ 삼성바이오로직스 수급 종합평가
"외국인 러브콜"
단 몇개월만에 외국인 투자자들은 삼성바이오로직스 보유 지분 2%를 늘렸습니다. 매크로를 중요시 여기는 외국인 투자자들 특성상 위에서 말씀드렸던것처럼 삼성바이오로직스에게 우호적인 매크로 상황이 외국인 투자자들의 투자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오랜기간 박스권에 머물던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가가 100만원을 넘어서자 서둘러 보유 물량을 시장에 내다 팔고 있습니다. 매매기준이야 사람마다 다르고 익절은 늘 옳습니다만 저는 유한양행,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장기투자 할 수 있는 종목들은 별도의 계좌를 만들어 매수 할 때 빼고는 거의 열어보지 않습니다. 매매호흡이 빠른 종목들과 섞여 있을 경우 장기투자심리가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죠.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수급 부문 종합등급은 A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3. 주가 전망
종목의 강점과 약점을 바탕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가를 전망해보겠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오로지 본인에게 있으므로 잘 판단하셔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Strong Point
1) CMO 부문 압도적 세계 1위, 공격적인 캐파 증설 진행중
2) 강달러 장기화 전망에 따라 환차익 증가
3) 미중 분쟁으로 CDO 부문 시장 진입 기회 확대
4) 생물보안법 이슈로 인한 잠재고객 증가 기대
Weak Point
1) 바이오시밀러 및 CMO 경쟁 심화로 인한 ASP 하락
4. 목표가
재무, 차트, 수급 분석과 주가 전망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목표가를 산출하기 때문에 실제로 목표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허황된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습니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목표가 : 1,300,000원
오래전부터 유지해왔던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목표주가 100만원을 돌파했지만 단기 이벤트나 테마에 의해 주가가 상승한것이 아니라 기업의 성장 방향을 주가가 추종한 것이라고 판단되기에 이익실현이 아닌 목표주가 상향으로 대응하겠습니다. 해당 목표주가는 현재 실적 기준으로 PER 90~100배에 달하는 밸류로 상당한 성장 프리미엄이 반영된 목표주가임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제 분석 내용은 참고만 해주시길 바라며 투자의 결과는 오로지 투자한 본인의 책임입니다. 즐겁고 성공하는 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아래 제 블로그 메인페이지로 가시면 더 많은 기업 정보 및 분석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